반응형

 

 

 

하계(7~8월)·기타계절 구간, 단가표, 계산 순서, 예시 계산까지 한 번에!

키워드: 전기요금 누진세 계산, 전기세 계산법, 2025 전기요금표, kWh 요금, 연료비조정요금, 기후환경요금, 전력산업기반기금 2.7%

1) 전기요금 구성과 누진제 한눈에 보기

전기요금 = 기본요금 + 전력량요금(누진) + 기후환경요금 + 연료비조정요금 + 부가세(10%) + 전력산업기반기금(현행 2.7%)

기본요금: 사용구간별 고정 전력량요금: kWh 단가 × 사용량(구간별) 하계(7~8월) 구간 완화 연료비조정: 분기 고시 기후환경요금: kWh당 고시 부가세 10% + 기금 2.7%

※ 아파트 일부는 ‘고압’ 적용일 수 있습니다. 본 글은 가장 보편적인 ‘주택용(저압)’ 기준으로 설명합니다.

 

 

 

 

2) 2025 요금표(주택용·저압): 하계 vs 기타계절

2-1. 하계(7월~8월) 누진구간·단가

구간 기본요금(원) 전력량요금(원/kWh) 비고
1단계 910 120.0 ~300kWh
2단계 1,600 214.6 301~450kWh
3단계 7,300 307.3 450kWh 초과

2-2. 기타계절(1~6월·9~12월) 누진구간·단가

구간 기본요금(원) 전력량요금(원/kWh) 비고
1단계 910 120.0 ~200kWh
2단계 1,600 214.6 201~400kWh
3단계 7,300 307.3 400kWh 초과

연료비조정단가(’25년 3분기)kWh당 +5원이 유지 중입니다. (분기마다 변동·고시)

전력산업기반기금 요율은 2025년 7월부터 2.7%가 적용됩니다. (’24.7~’25.6 3.2% → ’25.7~ 2.7%)

기후환경요금 단가는 kWh당 별도 고시(변동 가능)로, 해당 월 한전 공지 단가를 적용하세요.

3) 계산 순서(공식) — 어떤 항목을 어떤 순서로 더하나?

  1. 구간별 사용량 분리 (하계/기타계절 구간에 따라 1·2·3단계로 나눔)
  2. 전력량요금 = Σ(각 구간 사용량 × 해당 kWh 단가)
  3. 기본요금 = 사용구간에 해당하는 기본요금(910/1,600/7,300원 중 하나)
  4. 전기요금(소계) = 전력량요금 + 기본요금
  5. 기후환경요금 = (월 고시 단가, 원/kWh) × 총 사용량
  6. 연료비조정요금 = (분기 고시 단가, 원/kWh) × 총 사용량
  7. 전기요금계 = 소계 + 기후환경요금 + 연료비조정요금
  8. 부가세 = 전기요금계 × 10%
  9. 전력산업기반기금 = 전기요금계 × 2.7% (’25.7~)
  10. 최종 청구요금 = 전기요금계 + 부가세 + 전력산업기반기금

※ 실제 고지서에는 원 단위 절사/반올림 규칙이 있어 계산값과 수백 원 내외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

4) 예시 계산 #1: 350kWh (기타계절·저압)

  1. 구간분리: 1단계 200kWh, 2단계 150kWh
  2. 전력량요금 = 200×120.0 + 150×214.6 = 56,190원
  3. 기본요금(2단계) = 1,600원
  4. 소계 = 56,190 + 1,600 = 57,790원
  5. 기후환경요금 = CE × 350
  6. 연료비조정요금(’25.3Q +5원) = 5 × 350 = 1,750원
  7. 전기요금계 = 57,790 + (CE×350) + 1,750
  8. 부가세(10%) = 전기요금계 × 0.10
  9. 전력산업기반기금(2.7%) = 전기요금계 × 0.027
  10. 최종 청구요금 = 전기요금계 + 부가세 + 기금

팁: CE(해당 월 기후환경요금 단가)만 바꿔 넣으면 매달 빠르게 추정할 수 있습니다.

5) 예시 계산 #2: 500kWh (하계·저압)

  1. 구간분리: 1단계 300kWh, 2단계 150kWh, 3단계 50kWh
  2. 전력량요금 = 300×120.0 + 150×214.6 + 50×307.3 = 36,000 + 32,190 + 15,365 = 83,555원
  3. 기본요금(3단계) = 7,300원
  4. 소계 = 83,555 + 7,300 = 90,855원
  5. 기후환경요금 = CE × 500
  6. 연료비조정요금(’25.3Q +5원) = 5 × 500 = 2,500원
  7. 전기요금계 = 90,855 + (CE×500) + 2,500
  8. 부가세(10%) = 전기요금계 × 0.10
  9. 전력산업기반기금(2.7%) = 전기요금계 × 0.027
  10. 최종 청구요금 = 전기요금계 + 부가세 + 기금

 

 

 

 

6) 절약 포인트 & 자주 묻는 질문

6-1. 절약 포인트

  • 구간 마감선 관리: 하계는 300/450kWh, 기타계절은 200/400kWh 경계에서 사용량 조정
  • 대체 소비: 전기건조·온수·난방은 시간 분산, 실내 온도 1℃↑만으로도 kWh 절감
  • 필터/도어패킹 점검: 에어컨·냉장고 효율만 올려도 kWh가 크게 줄어요

6-2. FAQ

Q. “동결인데 왜 더 많이 나오죠?”
A. 사용량이 상위 구간(2·3단계)에 진입하면 단가가 급등합니다. 여름엔 사용시간이 늘어 체감 요금이 커집니다.

Q. 기후환경요금·연료비조정요금은 매달/분기 변하나요?
A. 네. 기후환경요금은 월별, 연료비조정단가는 분기별로 고시됩니다. 해당 시점 단가를 적용하세요.

Q. 부가세·전력산업기반기금은 어디에 곱하나요?
A. 전기요금계(기본+전력량+기후환경+연료비조정)에 각각 10%, 2.7%를 적용해 더합니다.

7) 바로가기(한전 요금계산기)


계산기는 계약종별(저압/고압), 하계/기타계절, 월사용량(kWh)을 넣으면 항목별로 자동 산출해줍니다.

 

 

본 글은 공개된 요금표 및 고시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. 세부 단가·요율은 고지 시점 공지에 따르며, 실제 청구액과 소폭 차이 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